• 관리
  • 글쓰기
  • 로그인
  • 로그아웃

선바위정보마당

  • 홈
  • 태그
  • 방명록
  • 실천 사자성어 실천궁행(實踐躬行) 언행일치 (言行一致) 생각한 바를 실제로 행함을 이르는 말이 실천인데요, 실천과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실천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실천궁행(實踐躬行)실제로 몸소 행함을 뜻함. 2. 학행일치(學行一致)배움과 행함이 서로 꼭 맞음을 뜻함.   3. 언행일치 (言行一致)말과 그에 따른 행동이 같다는 뜻. 4. 무실역행(務實力行)참되고 실속 있도록 힘써 실행한다는 뜻. 5. 일낙천금(一諾千金)한 번 승낙한 것은 천금같이 귀중하다는 말로, 약속을 중히 여긴다는 뜻.   6. 솔선수범(率先垂範)남보다 앞장서서 행동하여 몸소 다른 사람의 본보기가 된다는 뜻. 7. 자숙자계(自肅自戒)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심하고 경계한다는 뜻. 8. 무언실천(無言實踐)매사를 말없이 실천한다는 뜻.   9. 공언무시(空言無.. 성어속담 2024. 8. 21.
  • 외로움 사자성어 (외로움고사성어) 모음 외로움과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외로움 사자성어 (외로움고사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고립무원(孤立無援)고립되어 도움이나 구원을 받을 데가 없다는 뜻. 2. 고성낙일(孤城落日)외딴 성과 서산에 지는 해라는 말로, 세력이 다하고 남의 도움이 없는 매우 외로운 처지라는 뜻.  3. 고근약식(孤根弱植)외로운 뿌리, 약한 식목이라는 말로, 친척이나 돌보는 사람이 없는 사람을 뜻함.4. 고립무의(孤立無依)고립되어 외롭고 의지할 데가 없다는 뜻. 5. 고독단신(孤獨單身)도와주는 사람없이 외로운 처지에 있는 몸이라는 뜻. 6. 고신척영(孤身隻影)외로운 홀몸과 외롭게 비친 그림자라는 말로, 의지할 데 없이 외로이 떠도는 홀몸을 뜻함.   7. 고침단금(孤枕單衾)외로운 베개와 홑이불이라는 말로.. 성어속담 2024. 8. 15.
  • 앞뒤가 다른 사람 사자성어 앞뒤가 다르다 사자성어 앞뒤가 같다 사자성어 앞뒤가 다른 사람을 뜻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앞뒤가 다른 사람 사자성어, 앞뒤가 다르다 사자성어, 앞뒤가 같다 사자성어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① 구시심비(口是心非)말로는 옳다고 하면서 속으로는 그르다고 여김을 뜻함. ② 모순당착(矛盾撞着)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않고 모순된다는 뜻.   ③ 언행불부(言行不符)말과 행동이 서로 맞지않는다는 뜻. ④ 언행불일치(言行不一致)말과 그에 따른 행동이 서로 다르다는 뜻. ⑤ 언행상반(言行相反)말과 하는 행동이 서로 다르다는 뜻.  ⑥ 양면삼도(兩面三刀)양다리를 걸치며 겉과 속이 다르다는 뜻. ⑦ 양봉음위(陽奉陰違)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지만 마음속으로는 배반한다는 뜻. ⑧ 자가당착(自家撞着)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않고 모순된다는.. 성어속담 2024. 8. 2.
  • 현모양처 뜻 현모양처 반대말 알아봐요 자주 사용하는 사자성어 중에 '현모양처'라는 말이 있는데요, 현모양처는 어떤 의미일까요? 현모양처 뜻, 현모양처 반대말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현모양처'는 '인자하고 어진 어머니이자 착하고 좋은 아내'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 현모양처(賢母良妻)인자하고 어진 어머니이자 착하고 좋은 아내라는 뜻입니다.   (예) 그의 어머니는 현모양처이시다.(예) 신사임당은 현모양처의 표본이다.(예) 우리 어머니는 보기 드문 현모양처이시다. 현모양처의 반대말은 '악처'입니다. ※ 악처(惡妻)성품이나 행실이 바르지 못하고 사나운 아내라는 뜻입니다.  (예) 그의 아내는 악처라서 그가 꼼짝 못한다.(예) 그는 아내가 악처라서 이혼을 했다고 한다. ① 내조지공(內助之功)아내가 집안일을 잘 다스려 남편을 돕는다는.. 성어속담 2024. 6. 29.
  • 원님덕에 나팔 분다 뜻 원님 덕에 나팔 분다 사자 성어 '원님 덕에 나팔 분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원님 덕에 나팔 분다는 어떤 뜻일까요? 원님덕에 나팔 분다 뜻, 원님 덕에 나팔 분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원님과 함께 간 덕분에 나팔을 불며 요란히 맞아주는 호화로운 대접을 받는다는 말로, 남의 덕으로 좋은 대접을 받거나 당치도 아니한 행세를 하게 되어 우쭐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예) 원님 덕에 나팔 분다고, 유명인과 동행하며 사람들에게 큰 환대를 받았다. (예) 원님 덕에 나팔 분다고, 수석으로 대학교에 합격한 형 덕분에 가족 모두가 비싼 요리집에서 외식을 했다. 위의 속담은 원님(사또)이 지나가는 행차나 원님이 머무는 곳에서 대접과 환대를 받을 때 옆에 있어서 덩달아 대접을 받고 마치 자신이 원님마냥 우쭐대는 모양을 뜻하는.. 성어속담 2024. 5. 20.
  • 불행중 다행 사자성어 모음 '불행 중 다행이다'는 '좋지 않은 일이 더 번지지 않고 잘 마무리되어 다행스럽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관용구인데요, 불행중 다행이라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불행중 다행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① 만만다행(萬萬多幸)어렵던 일이 뜻밖에도 잘 풀려 운이 좋다고 생각함. ② 만분다행(萬分多幸)어렵던 일이 뜻밖에도 잘 풀려 운이 좋다고 생각함.   ③ 반화위복(反禍爲福)재앙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된다는 말로, 좋지 않은 일이 계기가 되어 도리어 좋은 일이 생김을 뜻함. ④ 새옹득실(塞翁得失)한때의 이익이 장래에 손해가 되기도 하고, 한때의 화가 장래에 복이 되기도 함을 뜻함. ⑤ 새옹위복(塞翁爲福)한때의 이익이 장래에 손해가 되기도 하고, 한때의 화가 장래에 .. 성어속담 2024. 5. 1.
  • 너무과한욕심 사자성어 모음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는데요, 너무 과한 욕심을 의미하는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너무과한욕심을 뜻하는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과유불급(過猶不及)욕심이 지나치면 오히려 화가 될 수 있다는 뜻. 2. 과욕초화(過慾招禍)지나친 욕심은 재앙을 초래하게 된다는 뜻.   3. 과욕필망(過慾必亡)욕심이 지나치면 스스로 화를 부르게 된다는 뜻.  4. 과욕불급(過慾不及)욕심이 지나치면 오히려 화가 될 수 있다는 뜻. 5. 갈택이어(竭澤而漁)연못의 물을 말려서 물고기를 잡는다는 말로, 일시적인 욕심으로 인해 먼 장래를 생각하지  않는다는 뜻. 6. 계학지욕(谿壑之慾)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의 욕심이라는 말로, 한없는 욕심을 뜻함.   7. 당랑재후(螳螂在後)눈앞의 욕심에만 눈이 멀어 뒤에 위험이 있다는 .. 성어속담 2024. 4. 25.
이전 1 2 다음
TOP

방문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선바위정보마당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