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와 데의 차이 참고하세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말 중에 '대'와 '데'가 있는데요, '대와 데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대와 데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대'는 '자신이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에게 들은 말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는 말'로 '~다고 해'와 같은 의미입니다. 이와는 달리 '데'는 '자신이 직접 경험한 사실을 회상하여 남에게 알려주듯이 말할 때 쓰는 말'로 '~더라"와 같은 의미입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를 참고하세요.① 대자신이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에게 들은 말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사용하는 말로 '~다고 해'와 같은 의미. (예) 일기예보에서 오늘은 날씨가 매우 춥대. (춥다고 해)(예) 어제 우리 아파트단지에 도둑이 들었대. (들었다고 해)(예) 사람들은 내가 마음씨가 나쁘다고 하대. (나.. 바른용어 2024. 12. 25. 안되다 않되다 맞춤법 참고하세요 틀리기 쉬운 말 중에 '안되다 않되다'가 있는데요, 가령 "집중이 안되다"와 "집중이 않되다" 중에 어느 문장이 바른 표현일까요? 안되다 않되다 맞춤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안되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따라서 '집중이 안되다'가 바른 표현인 것입니다. - 안되다 (O)- 않되다 (X)먼저 '않되다'라는 단어는 없다는 것입니다. "않다'라는 단어는 있지만 '않다'는 '아니하다'의 준말입니다. 따라서 '잘되다'의 반대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잘되다'의 반대어인 '안되다'로 표기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안되다' 주로 '안되고, 안되니, 안되어' 등으로 변화 활용되며, 자동사와 형용사로 사용되는데요,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자동사로 사용할 경우① 제대로 또는 좋은 쪽이.. 바른용어 2024. 12. 13. 비로서 비로소 맞춤법 참고하세요 표기할 때마다 틀리기 쉬운 말 중에 '비로서'와 '비로소'가 있는데요, '비로서'가 맞을까요? '비로소'가 맞을까요? 비로서 비로소 맞춤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비로소'가 바른 표현이고, '비로서'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 비로서 (X)- 비로소 (O) '어떠한 일이나 현상이 이제서야 변화하거나 이루어지다'는 뜻을 지닌 부사는 '비로소'이며, '비로서'라는 말은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으므로 '비로서'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① 비로서비로소의 잘못된 표현으로 애초부터 없는 말임. ② 비로소어느 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까지 이루어지지 아니하였던 사건이나 사태가 이루어지거나 변화하기 시작함을 나타내는 부사. (예) 그의 전화를 받자 비로소 마음이 놓였다.(예) 시행착오 끝에 비로소 일을 .. 바른용어 2024. 10. 26. 일사분란 일사불란 맞춤법 '일사분란'과 '일사불란' 중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일사분란 일사불란 맞춤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일사불란'이 바른 표현입니다. ① 일사분란 (X)'일사불란'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② 일사불란 (O)'질서가 정연하여 조금도 흐트러지지 아니한다'는 의미를 지닌 말로 올바른 표현입니다. ※ 일사불란(一絲不亂)질서가 정연하여 조금도 흐트러지지 아니함. (예) 모두가 일사분란하게 움직여라. (X)(예 모두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여라. (O) (예) 학생들은 일사분란하게 움직였다. (X)(예) 학생들은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다. (O) 한문으로는 '一絲不亂'으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一 : 한 일) (絲 : 실 사) (不 : 아니 불) (亂 : 어지러울 난)입니다.'일사불란'.. 바른용어 2024. 8. 31. 체제 체계 차이 '체제'와 '체계'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체제 체계의 구체적인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체제(體制)’는 ‘생기거나 이루어진 형식 또는 사회 조직이나 양식’을 뜻하는 말로 냉전 체제, 새로운 지도 체제, 자본주의 체제, 신분 체제 국가 등과 같이 쓰입니다. ‘체계(體系)’는 ‘일정한 원리에 따라서 낱낱의 부분이 짜임새 있게 조직되어 통일된 전체’를 뜻하는 말로, 체계가 잡히다, 체계를 세우다, 지휘 체계, 명령 체계 등과 같이 쓰입니다. 따라서 '체제'는 하나의 유기체로 본 상태이고, '체계'는 낱낱의 부분이 잘 정리되어 이루어진 형태인 것인데요, 더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① 체제(體制)생기거나 이루어진 형식 또는 사회 조직이나 양식을 뜻하는 말로서, 국가나 사회 등과 같이 집단을 이.. 바른용어 2024. 8. 13. 어떻게 어떡해 차이 쉽게 설명 그 의미를 서로 혼동하기 쉬운 말 중에 '어떻게'와 '어떡해'가 있는데요, '어떻게'와 '어떡해'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어떻게 어떡해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어떻게'는 '어떤 방법이나 방식으로 / 어떤 모양이나 형편으로 / 어떤 이유로 / 무슨 까닭으로'라는 의미를 지닌 부사이고 ‘어떡해’는 '어떻게 해'라는 구(句) 형태가 줄어서 서술어가 된 말입니다. 따라서 '어떻게'는 '이 일을 어떻게 해결할까? / 그는 어떻게 지낼까?'와 같이 부사적으로 사용되며, ‘어떡해’는 '화를 내면 어떡해? / 늦으면 어떡해?'와 같이 서술어로 사용됩니다.① 어떻게'어떤 방법이나 방식으로 / 어떤 모양이나 형편으로 / 어떤 이유로 / 무슨 까닭으로. ('어떠하다'가 줄어든 '어떻다'에 어미 '-게'가 결합하여 .. 바른용어 2024. 8. 10. 싸가지없다 사가지없다 뜻 '싸가지없다' 또는 '사가지'없다는 말을 들어보셨을텐데요, '싸가지없다'와 '사가지없다'는 어떤 뜻일까요? 싸기지없다 사가지없다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릇이 없거나, 앞으로 성공하거나 잘될 것 같은 낌새나 징조가 없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싸가지'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싸가지는 방언이고 표준어는 '싹수'입니다. '싹수'는 '앞으로 성공하거나 잘될 것 같은 낌새나 징조'를 뜻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버릇이 없거나, 앞으로 성공하거나 잘될 것 같은 낌새나 징조가 없다'는 의미를 표현할 때는 '싹수가 없다'와 같이 표현해야 합니다. ① 싸가지 없다 (X)'싹수'가 없다는 말의 잘못된 표현. ② 싹수가 없다 (O)버릇이 없거나, 앞으로 성공하거나 잘될 것 같은 낌새나 징조가 없다. (예) 하는 .. 바른용어 2024. 6. 1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