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
  • 글쓰기
  • 로그인
  • 로그아웃

선바위정보마당

  • 홈
  • 태그
  • 방명록
  • 해우소의 뜻 근심을 푸는 곳 '해우소'라는 말은 주로 사찰(절)에서 많이 사용하는데요, '해우소'는 어떤 뜻일까요? 해우소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우소(解憂所)의 원래 의미는 '근심을 푸는 곳'입니다. 그러나 해우소는 주로 사찰(절)에 있는 화장실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절에서는 화장실을 해우소라고 부름) 사람들이 화장실에 가는 이유는 바로 대소변을 해결하기 위함인데요, 가장 기본적인 생리 현상인 대소변이야말로 가장 큰 근심거리가 아닐 수 없습니다.   급할 때 화장실을 다녀오면 당장 해결해야 할 시급한 근심거리가 해결되므로 화장실은 바로 근심을 푸는 곳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절에서는 근심을 푸는 곳이라는 의미를 지녔으며 불교용어와도 잘 어울리는 해우소를 화장실을 뜻하는 말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스님들은 해우.. 일반상식 2024. 6. 13.
  • 반의사 불벌죄란 반의사 불벌죄의 종류 협박 폭행 등 반의사 불벌죄란 어떤 죄를 말할까요? 반의사 불벌죄란 어떤 죄인지와 반의사 불벌죄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피해자가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표시를 하면 가해자를 처벌하지 않는 범죄를 뜻합니다. 이는 가해자와 피해자의 원만한 합의를 유도하기 위한 법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① 폭행죄, 존속폭행죄, 과실상해죄② 협박죄, 존속협박죄③ 외국 원수 폭행·협박죄④ 외국사절 폭행·협박죄⑤ 외국 국기·국장 모독죄⑥ 명예훼손죄(인터넷, 언론, 출판물에 의한 것도 포함)  우리 주변에서 주로 일어나는 반의사 불벌죄는 폭행, 협박, 명예훼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의사 불벌죄와 비슷한 범죄인 학대, 존속학대, 상해죄, 집단폭행, 상습폭행 등은 죄질이 매우 나쁘기 때문에 반의사 불벌죄에 해당되지 .. 일반상식 2024. 6. 10.
  • 지랄맞다 뜻 우리는 간혹 '지랄맞다'는 말을 듣곤 하는데요, '지랄맞다'는 어떤 뜻일까요? 지랄맞다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마구 법석을 떨어 불안하고 정신이 없으며 어수선하다'는 의미를 속되게 이르는 말입니다.  ① 지랄마구 법석을 떨며 분별없이 하는 행동을 속되게 이르는 말. ② 지랄맞다마구 법석을 떨어 불안하고 정신이 없으며 어수선하다. (예) 그는 성격이 지랄맞다.(예) 그는 옛날부터 성격이 지랄맞았다.(예) 제발 지랄맞은 성격을 고치거라.(예) 그는 성격이 지랄맞아도 정직하다.   '지랄맞다'는 속된 표현이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① 발광(發狂)어떤 일에 몰두하거나 어떤 행동을 격하게 함을 낮잡아 이르는 말. ② 육갑(六甲)남이 하는 언동을 비속하게 이르는 말.   ① 지랄도 풍.. 일반상식 2024. 6. 2.
  • 연꽃 수련 차이 연꽃과 수련의 차이 연꽃과 수련은 연못에 피는 여름꽃으로 매년 6월~8월에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두 꽃은 생김새가 비슷해 구분하기가 어려운데요, 연꽃 수련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연꽃 수련 차이, 연꽃과 수련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① 개화 시기수련은 5월 말부터 꽃이 피고, 연꽃은 이보다 조금 늦은 7월에 핍니다. 하지만 기상 변화로 인해 개화하는 시기가 반드시 일정하지는 않아 개화 시기만으로는 연꽃과 수련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② 꽃이 피는 위치수련은 물의 표면 바로 위에 꽃이 떠있으나, 연꽃은 꽃대와 잎이 물위로 불쑥 올라와 물의 표면보다 훨씬 위에 꽃이 핍니다. 따라서 이것만 알아두면 누구라도 쉽게 연꽃과 수련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③ 잎의 모양수련은 잎의 한쪽 끝이 쭉 갈려져 있으나.. 일반상식 2024. 5. 26.
  • 비행운 뜻 비행운이 생기는 이유 아마도 '비행운'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그런데 비행운은 무엇을 뜻하는 말일까요? 비행운 뜻, 비행운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비행운은 영어로는 'Contrail'이라고 부르는데요, 비행기가 날아간 뒤에 꼬리처럼 길게 생기는 구름 형태의 모양을 뜻하는 말입니다. 아마도 여러분은 비행기가 하늘을 지나갈 때 형성되는 기다란 줄 모양의 구름 형태를 보셨을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비행운'입니다.   비행운은 일반적으로 항공기가 고도 8km~12km 사이에서 순항 비행 중에 발생합니다.  항공기가 고도 8km~12km 사이에서 순항 비행 중에 엔진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 입자 등이 주변의 차가운 공기와 만나면서 겨울철 유리창에 결로가 맺히는 현상처럼 차가운 이슬이 생겨난 것입니다. 즉.. 일반상식 2024. 5. 18.
이전 1 2 3 4 다음
TOP

방문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선바위정보마당

티스토리툴바